바람따라 완주따라 뚜벅뚜벅 완주 한바퀴

 BTS로드 / 완주, 완주(完走)하기 / 모바일 스탬프 투어

모바일 스탬프 투어 내용보기 닫기

고고유적

HOME  <  역사ㆍ문화 < 향토문화 < 고고유적

석실고분2.jpg

완주 둔산리 횡혈식 석실고분 유적
소재지 : 전북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

상세정보

완주 둔산리 석실 고분유적은 전라북도 완주군 봉동읍 둔산리에 위치한다. 봉동읍 둔산리에 거주하는 소환용씨가 과수묘목을 심기 위해 구덩이를 파던 중 우연히 발견되었다. 이 둔산리 석실분 유적은 백제시대 후기로 편년되는 횡혈식석실분으로 확인되었다.

최근 전주과학산업연구단지로 조성됨에 따라 1997년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는 단지 경내 에 유존하던 석실분을 발굴조사하였다. 전주과학산업연구단지의 조성으로 이 횡혈식고분이 유실 될 위기에 처하자 한국토지공사 전북지사와 국립전주박물관은 문화재 보존과 역사교육자료를 활용 하고자 2000년도에 국립전주박물관 야외전시장에 이전 복원시켜 놓았다.

둔산리 석실분은 현실의 한쪽에 출입시설이 갖추어지고 봉분 가장자리로 호석이 돌려진 횡혈식 봉 토석실분으로 연도 전면이 묘도바닥에는 길다란 배수구가 이어져 있는 무덤이다. 석실은 남북방향으로 가로놓인 구릉의 동쪽 경사면을 이용하여 등고선과 나란히 설치하였는데 매장부는 적갈색 점토증과 명황갈색 풍화암반층이 기반을 이루고 생토층을 굴착하여 지하에 마련 하였다.

현실의 단면은 육각형이며, 축조방법은 먼저 장방형으로 묘광을 파고 바닥의 중심선을 따라 폭 0㎝ 내외의 배수를 위한 암거시설을 갖춘 뒤 그 위에 상석을 깔고 이어 양측벽과 전후 벽석을 세운 다음 개석을 덮는 방식이다. 벽체의 구성은 먼저 양장벽의 경우 장방형의 판상석을 길이로 세우고 그 상단에 다기 세장한 판상석을 횡치하되 현실 내부로 35도 가량 기울려 쌓았다.

현문의 설치는 바닥에 하방석을 놓고 그 양쪽으로 문주석을 세워 만들었는네, 연도쪽에서 볼 때 문주석이 연도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현문의 입구는 폐쇄하지 않았다. 연도는 석실이 남동쪽 단면 중앙부에 두었으며 그 길이가 52㎝로 매우 축소되었고 길이 약 110㎝, 폭35∼60㎝ 내외, 두께 15∼22 ㎝ 가량의 장대석 2매를 수직으로 세워 폐쇄하였다.

입구부는 연도만 폐쇄하였고 현문의 문비석은 설치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배수로는 현실의 북쪽 단벽 부근의 상석아래에서 시작하여 연도 앞으로 경사면을 따라 길게 이어져 있는데, 남쪽 끝부분이 동쪽으로 휘어져 있다.

배수구는 너비 30∼40㎝ 깊이 15∼25㎝ 규모로 구덩이를 파고 그 내부에는 주로 석실구조에 사용 서재를 가공할 때 떨어져 나온 할석들을 채워 넣어 만들었다. 현실과 현문, 연도 등 석실구조에는 총30매의 장대석이 사용되었다. 이들은 화강석을 일정한 형태로 떼어잰 후 한쪽 면만을 정교하게 잘 다듬질하여 석실 내면으로 이용하고 그 반대면은 가공질이 거칠어 심한 요철을 이루고 있다. 특히 현실 남쪽의 첫번째 개석의 가장자리에는 단면이 둥근도구를 이용하여 원석에서 떼어낸 흔적이 여러 곳에서 관찰되었다.

이 백제시대 봉토석실분은 여러 장의 돌로써 횡혈식 석실분을 만들고 그 석실 위에 흙을 올려 무덤을 나타내는 봉토를 쌓는 방식이다. 이러한 석실분은 백제가 공주에서 부여로 수도를 옮길 무렵에 만들어진 석실분으로 7세기 무덤으로 추정하고 있다.

사진보기

찾아오시는길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