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지정 유형문화재
HOME > 역사·문화 > 문화재 > 도지정 유형문화재
총 게시글 20 페이지수 1/2
- 고산향교 대성전
- 이 향교는 태조 7년(1397)에 건립을 하였으나 정종 2년(1399)에 원인 모를 화재로 불에타 없어진 것을 다음해에 다시 세웠다.그러나 이 때 세운 건물 또한 선조 2년(1592) 임진왜란 때 왜구들의 손에 불타 ..
- 남계정
- 이 정자는 남계 김진이 학문과 교육에 뜻을 두고 낙향하여 지은 정자이다. 나이 20세에 후진을 양성하니 많은 사람들이 그를 우러렀다. 지금도 의병장 고경명,조헌, 부제학 심음시 등 당시의 유림들이 남계의 학문과 덕망을 찬..
- 대원사 목조삼세불좌상
- 이 불상은 석가모니불상과 아미타불상, 약사불상으로 이루어진 삼세불상으로 현재 모악산 대원사의 대웅전에 주불로 봉안되어 있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왼쪽(향우)에는 약사불, 오른쪽(향좌)에는 아미타불이 봉안되어 ..
- 대원사 용각부도
- 이 부도탑은 조각솜씨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든것으로 보인다. 전체 높이는 132cm이며, 연꽃을 새긴 받침부 위에 배가 불룩한 원통형 몸체를 얹었다. 몸체에는 두마리의 큼직한 용과 띠모양 무늬, 연꽃 무늬, 구름무늬 등을 ..
- 송광사 금강문
- 금강문은 조선 제 17대 효종 7년(1656)에 벽암대사가 송광사를 중창할 때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 3칸,측면 2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이며,지붕은 단처마로 외3출목,내4출목이다. 연등천정이고 원주형 창방,..
- 송광사 나한전
- 나한전은 정면 3칸,측면 3칸의 주심포 건물이다.각 지주의 초석은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팔작지붕이고,우물천장이다. 내부에는 목조의 석가여래좌상이 모셔져 있고 좌·우로 16나한과 오백나한,인왕상 2구, 동자상 2구,사자상..
- 송광사 동종
-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107㎝, 입 지름 73㎝의 종이다. 종을 메다는 고리는 용이 여의주를 갖고 있는 형상이며, 옆으로 소리 울림을 도와 주는 음통이 있다. 종 윗부분에는 꽃무늬로 띠를 두르고, 아래 구슬 모양의 돌기..
- 송광사 명부전 소조지장보살삼존상 및 ..
- 높이 1.6m의 거대한 지장보살상은 명부전의 주존불로 봉안하고 있는데 좌측에 보세존자를 모셨으며 그 좌·우 십왕상과 그 권속들이 배치되어 있다. 지장보살상은 목조의 연화좌 위에 안치하였는데 상 ·하 단엽의 앙·복엽이 조각..
- 송광사 목조 삼패전
- 대웅전 불단 위에 삼존불을 모셔놓고 그 사이 양쪽에 각기 1위씩의 목패를 배치하고 있다. 「주상전하수만세」라 기한 목패는 높이 2.28m이며 다른 2위는 「왕비전하수제년」, 「세자저하수천추」라 기한목패는 높이 2.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