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따라 완주따라 뚜벅뚜벅 완주 한바퀴

 BTS로드 / 완주, 완주(完走)하기 / 모바일 스탬프 투어

모바일 스탬프 투어 내용보기 닫기

도지정 유형문화재

HOME > 역사·문화 > 문화재 > 도지정 유형문화재

총 게시글 20 페이지수 1/2

고산향교 대성전

고산향교 대성전
이 향교는 태조 7년(1397)에 건립을 하였으나 정종 2년(1399)에 원인 모를 화재로 불에타 없어진 것을 다음해에 다시 세웠다.그러나 이 때 세운 건물 또한 선조 2년(1592) 임진왜란 때 왜구들의 손에 불타 ..

자세히보기

남계정

남계정
이 정자는 남계 김진이 학문과 교육에 뜻을 두고 낙향하여 지은 정자이다. 나이 20세에 후진을 양성하니 많은 사람들이 그를 우러렀다. 지금도 의병장 고경명,조헌, 부제학 심음시 등 당시의 유림들이 남계의 학문과 덕망을 찬..

자세히보기

대원사 목조삼세불좌상

대원사 목조삼세불좌상
이 불상은 석가모니불상과 아미타불상, 약사불상으로 이루어진 삼세불상으로 현재 모악산 대원사의 대웅전에 주불로 봉안되어 있다. 중앙의 석가모니불을 중심으로 왼쪽(향우)에는 약사불, 오른쪽(향좌)에는 아미타불이 봉안되어 ..

자세히보기

대원사 용각부도

대원사 용각부도
이 부도탑은 조각솜씨로 보아 고려시대에 만든것으로 보인다. 전체 높이는 132cm이며, 연꽃을 새긴 받침부 위에 배가 불룩한 원통형 몸체를 얹었다. 몸체에는 두마리의 큼직한 용과 띠모양 무늬, 연꽃 무늬, 구름무늬 등을 ..

자세히보기

송광사 금강문

송광사 금강문
금강문은 조선 제 17대 효종 7년(1656)에 벽암대사가 송광사를 중창할 때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정면 3칸,측면 2칸의 다포식 팔작지붕 건물이며,지붕은 단처마로 외3출목,내4출목이다. 연등천정이고 원주형 창방,..

자세히보기

송광사 나한전

송광사 나한전
나한전은 정면 3칸,측면 3칸의 주심포 건물이다.각 지주의 초석은 자연석을 사용하였으며 팔작지붕이고,우물천장이다. 내부에는 목조의 석가여래좌상이 모셔져 있고 좌·우로 16나한과 오백나한,인왕상 2구, 동자상 2구,사자상..

자세히보기

송광사 동종

송광사 동종
조선시대 만들어진 높이 107㎝, 입 지름 73㎝의 종이다. 종을 메다는 고리는 용이 여의주를 갖고 있는 형상이며, 옆으로 소리 울림을 도와 주는 음통이 있다. 종 윗부분에는 꽃무늬로 띠를 두르고, 아래 구슬 모양의 돌기..

자세히보기

송광사 명부전 소조지장보살삼존상 및 권속상 일괄

송광사 명부전 소조지장보살삼존상 및 ..
높이 1.6m의 거대한 지장보살상은 명부전의 주존불로 봉안하고 있는데 좌측에 보세존자를 모셨으며 그 좌·우 십왕상과 그 권속들이 배치되어 있다. 지장보살상은 목조의 연화좌 위에 안치하였는데 상 ·하 단엽의 앙·복엽이 조각..

자세히보기

송광사 목조 삼패전

송광사 목조 삼패전
대웅전 불단 위에 삼존불을 모셔놓고 그 사이 양쪽에 각기 1위씩의 목패를 배치하고 있다. 「주상전하수만세」라 기한 목패는 높이 2.28m이며 다른 2위는 「왕비전하수제년」, 「세자저하수천추」라 기한목패는 높이 2.08..

자세히보기

송광사 사적비

송광사 사적비
이 비는 조선 인조 14년(1636)에 송광사 개창을 기념하기 위하여 세운것으로 높이 2.4m, 폭 94㎝ 이다. 비문은 신익성이 짓고 글씨는 의창군 이광이 썼으며 이비는 귀부와 이수가 갖추어졌다. 앞면에는 비명과 고..

자세히보기

 1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