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교유적
HOME > 역사·문화 > 향토문화 > 유교유적
총 게시글 17 페이지수 1/2
- 고산향교
- 고산향교는 1397년(태조7년)에 창건되었으나 1399년 (정종2년)에 소실되어 재건하였다. 1592년 임진왜란 때에 왜구들에 의해 소실되었다가 1601년(선조34년)에 대성전, 1604년에 명륜당에 차례로 중건되었다..
- 구호서원
- 구호서원은 서기 1730년(영조 6년)에 처음 세워졌으며 1777년(정조 1년)에 친원파에 대항하다가 죽음을 당한박상충과 조선 개국원종공신 이성중, 왕자의 난에서 큰 공을 세운 박은, 송유저, 박소, 임사수 등의 5명의 ..
- 대승서원
- 대승서원은 본래 완주군 구이면 학천리에 처음 세워졌으나 훼철되었다가 1926년 현재 위치에 다시 세워졌다.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 지붕으로 되어 있으며 강당은 정면 5칸의 팔작지붕으로 되어있다.
- 반곡서원
- 반곡서원은 수선리 산정마을에 있으며, 이 지방에 살고 있던 담양국씨들이 자기들의 선조들의 절의와 효행의 높은 뜻을 기리기 위하여 1871년(고종8년) 2월에 세워 1995년에 중건하였다. 이 곳에는 현재 국유를 중심으..
- 백현서원
- 백현서원은 1866년 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 의해 훼철되었다가 1903년에 다시 세운 것이다. 그 뒤 1941년 임윤성의 위패는 그 뒤 후손들이 천곡사로 옮졌고, 현재는 정묘호란 때에 호남과 영남을 끼고 청군에 대항하여 싸..
- 보광서원
- 이 사당은 1720년(숙종 46년)에 처음 이 곳에 세워졌으나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1869년 헐려 없어졌다. 그 뒤 1971년에 다시 세워 오늘에 이르고 있다. 최근에 이도형이 찬한 보광사비가 세워져 있다. ..
- 봉강서원
- 봉강서원은 1754년(영조 30년) 용진면 모란동에 임금으로부터 모란서원이라는 이름을 받아 세워졌던 것을 1852년(철종 3년) 지금의 위치에 건물을 옮겨 이름도 봉강으로 고쳤다. 그 뒤 대원군의 철폐령에 따라 1869년..
- 봉양서원
- 1701년(숙종 27년)에 세워진 정읍시 칠보면 무성리 동편에 있는 용계서원에서 최서림등 5현을향사하였는데 서원철폐 때 훼철되자 1966년에 현 위치에 사우를 창건하고 항사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사당은 전면3칸, 측면..
- 비비정
- 삼천과 추천, 전주천이 합수되어 다시 거듭 소양천과 고산천에 합수되어 만경강이 시작 되는 곳을 한내(한천교 아래)라 한다. 한내란 큰내라는 뜻으로 호남으로 빠지는 관로의 요충이었다. 또한 한내는 충무공 이순신 장군이 백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