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람따라 완주따라 뚜벅뚜벅 완주 한바퀴

 BTS로드 / 완주, 완주(完走)하기 / 모바일 스탬프 투어

모바일 스탬프 투어 내용보기 닫기

보물

HOME > 역사·문화 > 문화재 > 보물

총 게시글 8 페이지수 1/1

송광사 대웅전

송광사 대웅전
송광사는 통일신라 경문왕 7년(867)에 도의가 처음으로 세운 절이다. 그 뒤 폐허가 되어가던 것을 고려 중기의 고승 보조국사가 제자를 시켜서 그 자리에 절을 지으려고 했지만, 오랫동안 짓지 못하다가 광해군 14년(1..

자세히보기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송광사 소조 사천왕상
사천왕은 갑옷을 입고 위엄이 충만한 무인상을 하고, 동·서·남·북의 사천국(四天國)을 다스리는데, 우리나라에서는 통일신라 초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에는 사찰입구에 사천왕문을 세워 모시고 있다. 대웅전을 향하여..

자세히보기

송광사 소조석가여래 삼불좌상

송광사 소조석가여래 삼불좌상
신라 경문왕 7년(862) 도의선사가 창건한 송광사에 모셔져 있는 이 삼불좌상은 본존불인 석가불을 중앙에 안치하고, 오른쪽에는 아미타불, 왼쪽에 약사불을 배치하고 있다. 무량사 소조아미타불상(5.4m)과 함께 가장 거..

자세히보기

송광사 종루

송광사 종루
이 건물은 조선 세조때 처음 세웠으나 임진왜란 때 불타 철종 8년(1857)에 다시 세웠다. 건물 평면이 십자모양인데, 일반적으로 십자형 건물은 흔치 않으며 더욱이 종루로서는 이것이 국내에서 유일하다. 건물의 꾸밈 또..

자세히보기

안심사계단

안심사계단
안심사 계단은 부처의 치아사리 1과와 의습 10벌을 봉안하기 위해 조선 중기(17세기 중반이후 1759년 이전)에 조성되었다.석조계단은 앞면과 옆면에 긴 직사각형 돌을 놓아 기단을 쌓고 그 위에 비슷한크기의 돌판을 한..

자세히보기

위봉사 보광명전

위봉사 보광명전
보광명전은 다포계 양식으로 건축된 팔작집으로 굵직한 재목들을 사용하여 집이 웅장하게 보이며 귀솟음도 뚜렷하다. 공포는 내.외 모두 3출목이다. 쇠서의 조각 솜씨와 내·외부의 연화를 조각한솜씨 그리고 귀공포의 간결한 처리수..

자세히보기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정수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상
극락전에 모신 이 불상들은 조선 효종 3년(1652)에 만든 것으로, 불상의 크기는 대략 1.4m 내외이다. 극락을 주관하는 아미타불을 가운데 두고 그 좌우에 관음보살과 대세지보살을 배치한 삼존불상이다. 관음보살..

자세히보기

화암사 우화루

화암사 우화루
이 건물은 극락전의 정문과 같은 성격의 누각형식인데 정면만을 누각형식으로 하고 후면은 단층 건물로 한 반누각식으로 되어있다. 현재의 건물은 조선 광해군 3년(1611)에 세워진 것으로 그 후에도 여러 차례 수리되었으나 크..

자세히보기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