완주소개
- 일반현황
- 인구현황
- 행정구역
- 기관 및 단체
- 완주의 상징물
- 완주의 역사
- 군청안내
- 읍·면 안내
- 실국과/사업소
- 교류도시
- 수상내역
- 완주 명예군민
유래/전설
100%
경천면
용복리(龍伏里)
석장(石場. 새마을. 草場)
부분명-사기점골 석장은 마을 뒷산에 벽과 같은 바위가 있어 석장(石場)이라 하던 것이 한자 표기가 바뀐 듯 하다. 사기 점골에는 사기점이 있었다. 초장은 ‘새마을’의 한자 표기다. 초(草)의 고어는 ‘새’다.
신덕(新德)
부분명-구수동(九水洞) 신덕은 새터라는 말. 구수동은 마을이 구수(구유) 형국이라고 한다.
원용복(元龍伏)
앞 냇가에 용소가 있는데 그것을 막아 용보라 했다고도 하고 지형이 용이 엎드린 형국이라고도 한다. ‘洑’자의 본 음은 ‘복’이고 ‘보’는 우리 관용음이다.
만수동(滿水洞. 萬水洞. 황새말)
부분명-만수동산막(山幕) 황새말은 뒷산이 황새처럼 생겼고, 또 황새가 많이 서식했다. 산막은 골짜기에 막을 짓고 살기 시작했기 에 생긴 이름.
가천리(佳川里)
구재(九宰)
부분명-교항(橋項. 다리목). 신흥골 구재는 구마하전혈이 있어 아홉 재상이 나올 터라 한다. 교항에는 앞내에 다리가 있었다. 신흥은 옆에 신흥사라는 절이 있었다.
나. 원가천(元佳川)가 천리의 지명을 취한 마을로 법정 리명과 구분하기 위하여 ‘원(元)’을 덧붙였다.
요동(堯洞. 싱그랭이. 욧골)
부분명-동향동. 시우동. 주막뜸 욧골은 옆골의 변한 말이고, 싱그랭이는 신을 걸어 놓고 팔았다 한다. 동향동은 욧골 동북쪽에 있는 마을이고, 시우동은 욧골 동쪽에 있는 마을이다. 주막뜸에는 주막이 있다.
경천리(庚川里)
죽림(竹林. 대숲골)
부분명-대석, 오봉리(五峰里) 죽림에는 대밭이 많았고, 대석은 똘복판에 큰 반석이 깔렸다. 오봉리는 뒷산에 다섯 봉우리가 나란히 솟아 있다.
나. 오복(五福洞) 부분명-성가동(星可洞. 성가마골), 주막뜸 성가동은 오복동 동북쪽에 있는 마을이고, 주막뜸에는 주막이 있었다.
갱금(更川. 갠지미)
부분명-새뜸 갠지미는 마을 가까이에 개산이 있는데 개가 앉았다 하여 ‘개안지미’라 하던 것이 변음되었다 한다. 새뜸은 갠지미 가운데에 새로 생긴 마을.